- 주경준 기자/ 승인 2023.10.20 06:14

로수바스타틴과 에제티미브 복합제가 원외처방조제액 월매출 1위 성분으로 올라섰다.
이유는 9월 5일부터 기준요건 1차 재평가에 따라 7천여품모긔 약가가 조정되면서 콜린 알포세레이트와 아토르바스타틴 성분의 원외처방조제액이 좀 더 많이 감소했기 때문이다.
뉴스더보이스가 20일 유비스트의 협조를 얻어 기준요건 1차 재평가가 따른 성분별 원외처방조제액 변화의 추이를 살핀 결과, 로수바+에제 성분은 9월 513억원, 콜린 501억원, 아토르바스타틴 470억원 순이었다.
원외처방조제액 1위품목이던 아토르바스타틴은 올해 3위까지 순위가 하락한 가운데 올해 1월부터 8월까지는 콜린알포세레이트가 1위 품목에 이름을 올린 바 있다.
순위 변화는 시작은 콜린제제의 성장과 함게 아토르바+에제 복합제 제네릭의 등장으로 시작됐다. 단일제 아트로바스타틴 가장 크게 영향을 받으며 원외처방액이 감소했다. 일부제약사는 단일제 매출을 복합제로 전환하는 등 뚜렷한 영업방식의 변화을 줬다.
이번 순위변화는 기준요건 1차 재평가에 따른 약가조정이 직접적인 영향을 줬다. 전월대비 로수바+에제는 약 28억원, 콜린은 45억원, 아토르바는 30억원이 각각 감소했다. 참고로 자율적인 휴가시즌이 포함된 8월보다 추석연휴가 낀 9월 원외처방조제액은 소폭 하락하는 경향이 있어 감소액은 다소 높았다.
정부가 기준요건 재평가에 따른 약가인하에 다른 재절절감예측액은 22년 원외처방조제액 기준으로 2972억원으로 추산한 바 있다. 상위 3대 성분에서만 재정절감 효과가 30% 정도 집중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연말께나 정확한 그 추이을 확인할 수 있을 전망이다.
'로수바+에제' 원외처방액 1위 등극...기준요건 재평가 영향 - 뉴스더보이스헬스케어 (newsthevoice.com)
'제약세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상용화 앞당겨 진 한국형 GLP-1, 2026년 출시 예고 (1) | 2023.10.24 |
---|---|
연구진이 제안한 혁신약제 등 별도재원 조성방안 밑그림은? (0) | 2023.10.23 |
약사회 "끝까지 갈 것" vs 베링거 "법적으로 끝난 일" (0) | 2023.10.18 |
"렉라자, '뇌전이·L858R변이'에 효과 우수" (0) | 2023.10.16 |
"브루킨사, SLL·CLL 넘어 MCL까지 계열 내 가장 우수" (1) | 2023.10.11 |